지하철은 많은 사람들이 매일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을 넘나드는 통합 네트워크가 잘 구성되어 있어, 출퇴근은 물론 장거리 이동에도 자주 활용된다. 그러나 막상 요금 체계를 살펴보면 단순하지 않다. 연령대별 요금 차이뿐 아니라, 노선별로도 요금제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얼마 전, 아이와 함께 지하철을 타다가 '아이 요금은 무료인가?'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막상 찾아보니 생각보다 복잡했다. 그래서 같은 고민을 가진 분들을 위해 정보를 정리해봤다.
연령대별 지하철 요금 체계
수도권 지하철 요금은 연령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유아 (만 6세 미만)
유아는 보호자 동반 시 무료로 승차할 수 있다. 보호자 1인당 유아 3명까지 무료이다. 별도의 교통카드는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 개찰구를 통과하면 된다.
2. 어린이 (만 6세 이상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어린이용 교통카드를 이용해야 하며, 기본요금은 450원이다. 거리에 따라 추가 요금이 붙지만, 성인 요금 대비 매우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다. 교통카드 발급 시 생년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하다.
3. 청소년 (만 13세 이상 ~ 만 18세 이하)
청소년은 청소년용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기본요금이 720원이다. 이 역시 성인 대비 할인된 요금이다. 청소년 할인은 자동 적용되며, 만 19세가 되는 해의 3월까지만 할인받을 수 있다.
4. 성인 (만 19세 이상)
성인의 기본요금은 1,250원이다. 이는 10km까지 적용되며, 이후로는 5km 또는 10km 단위로 추가 요금이 붙는다. 현금 이용 시에는 교통카드 대비 100원 정도 더 비싸다.
5. 경로우대 (만 65세 이상)
만 65세 이상은 경로우대 대상자로, 무료 승차가 가능하다. 단, 무임승차는 교통카드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해당 연령이 자동 등록된 카드여야 한다. 지하철역에서 경로우대 교통카드를 별도로 신청할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의 통합 요금제와 별도 요금제
수도권 지하철은 서울교통공사, 코레일, 인천교통공사, 신분당선 등 여러 기관이 운영하는 노선들이 얽혀 있다. 이들 노선 간에는 대부분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만, 일부 노선은 별도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어 이용자 입장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는 노선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는 대표적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서울지하철 1~9호선 (일부 구간 제외)
- 수도권 광역철도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 수인선, 인천1·2호선)
- 서울
인천경기 대부분의 도시철도
이들 노선은 기본요금과 거리요금이 하나로 합산되어 계산되며, 환승할 때도 추가 요금이 붙지 않는다. 예를 들어 2호선에서 9호선으로 갈아탄 후 수인분당선으로 환승해도, 1회 승차로 간주되어 요금이 계산된다.
별도 요금제가 적용되는 노선
다음 노선들은 별도 요금체계를 가지고 있다.
- 신분당선: 민자노선으로, 기본요금이 1,450원부터 시작하며 추가요금도 높다. 통합요금제와는 별도로 계산되므로, 환승 시 추가 요금이 붙는다.
- 용인 경전철 (에버라인):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포함되지 않아 기본요금 1,250원이 별도로 부과된다.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과 마찬가지로 별도 요금이다.
- 김포골드라인: 별도 요금으로 운행되며, 교통카드 기준 기본요금은 1,450원이다.
- 우이신설선: 서울시에서 운영하지만 민자노선으로, 기본요금이 1,250원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통합과 별도 요금의 환승 시 주의사항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지 않는 노선 간 환승 시, 두 개의 요금이 합산되어 계산된다. 예를 들어 2호선 → 신분당선으로 이동하면, 서울지하철 기본요금과 신분당선 기본요금이 모두 적용된다. 이 경우, 추가 요금이 예상보다 많을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근 이용한 수지구청 - 송파나루 경로에서 금액차이가 많이 났다. 최소환승 3,900원, 다회환승(9호선경로 줄이기) 2,700원)
'공부 > 알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여행 전 기내 반입 금지 물품 체크하는 법 (4) | 2025.04.04 |
---|---|
바뀐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여행 전에 꼭 확인하세요 (3) | 2025.04.02 |
2025년 정부 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1) | 2025.04.01 |
멀티탭, 용도와 용량에 맞게 사용하자 (1) | 2025.04.01 |